교통사고가 줄어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
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 중 상당수는 교차로 혹은 사거리에 위치해 있다. 여러 방향에서 차량이 엇갈려 오가다 보면 예기치 않은 접촉 사고
등이 발생하기 쉽다.
행정안전부가 이처럼 교통사고 잦은 곳*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을 진행한 결과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66%,
교통사고 건수는 30.1%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.
* 특별·광역시의 경우 한 해 교통사고가 5건 이상 발생한 지점과 시·도의 경우
3건 이상 사고가 발생한 지점
이는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이 2015년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이 완료된 136개소에 대해
개선 전 3년 평균 사고데이터와 개선 후 1년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이다.
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사업시행 전인
2012년~2014년에는 연평균 사망자수가 35명이었으나 사업시행 후인 2016년에는 12명으로 66% 감소했다.
발생건수는 개선
전 1491건에서 개선 후 1043건으로 30.1% 줄어 횡단보도 등 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주요 개선사례를 보면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 예술가의 집 사거리는 교차로 진행방향이 불분명하고 원거리에서의 시야가 불분명한 측면이
있어 신호위반 등의 교통사고가 연간 18건 발생하였다.
이에 교통섬을 이용해 신호기를 진행 방향별로 분리 설치·운영하고 차로에
적색 노면표시를 설치 및 통행패턴을 단순화하는 등 개선을 통해 교통사고가 6건(71.8%)으로 대폭 감소하였다.
부산광역시 연제구
거제동 현대아파트 앞 교차로에서는 신호위반 및 보행자 횡단사고로 연간 8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. 전방신호기, 교통섬,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
등 개선을 통해 교통사고가 3건(62.5%)으로 감소되었다.
또한 제주도 제주시 애월읍 킹마트 앞 사거리에서는 무신호 교차로 운영
및 좌회전 차로 부재로 연간 2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다. 신호 교차로 운영, 보도 신설, 미끄럼 방지포장 설치 등 개선 후 단 한 건의
교통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.
김석진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 “교통사고 잦은 곳에 대해 사고 원인 분석에 따른 맞춤형 개선이
필요하다”며 “교통사고가 줄어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”고 밝혔다.
최정미 기자 / 경찰방송
'* 경제/부동산/기업/자동차/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*비영리IT지원센터, 공익단체 22곳에 채움PC 기증 (0) | 2018.01.30 |
---|---|
*연세대 사회혁신센터, ‘제9회 한국청소년학술대회 KSCY’ 개최 (0) | 2018.01.27 |
*부천시 자동차과태료 체납 징수율 상승 (0) | 2018.01.25 |